삼천당제약

삼천당제약의 캐나다 판매허가 오피셜 소식

얼마 전, 캐나다로 아일리아 시밀러 제품을 선적했다는 소식을 전달한 바 있었다 삼천당제약의 아일리아 시밀러, 드디어 선적! 그리고 어제, 삼천당제약에서 오피셜로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의 최종 허가 소식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전달했다. 이 소식에 주가는 크게 상승했었으나, 역시 삼천당제약답게 길게 꼬리를 만들며 하락하는 모양새이다. 슬프게도 지난번 6.5에 선적 소식 이후 상승했던 고점에 비해 15% 가량 하락한 상태라는것… 캐나다

자유 실험실

머스크-트럼프 ‘갈등 핵폭탄’, 단 하루 만에 150조 원 증발

-14% 하락, 무슨 일이 있었나? 정책 리스크의 현실화 트럼프가 EV 세액공제와 연방 계약 박탈을 시사하며, 테슬라의 매출, 마진 전망에 즉각적인 타격이 예상됨 투자자 신뢰 붕괴 머스크가 대통령 탄핵까지 거론하며, 갈등 수위를 한껏 끌어올리자, “머스크 리스크” 프리미엄이 급격히 확대 기존의 취약했던 펀더멘털 EV 수요의 둔화, 중국 점유율 하락, 가격 인하 경쟁 등 기존 약세 요인이 상존한

삼천당제약

삼천당제약의 아일리아 시밀러, 드디어 선적!

삼천당제약의 아일리아 시밀러가 드디어 선적되었다는 기사가 발표됐다. 단 한개 국가의 판매량이 국내 연간 판매량보다 많이 수출될것이라는 놀라운(예상했지만) 소식 주주로써 드디어 관련 소식이 들렸다는 매우 기쁜 마음에 주가창을 들여다보니 엣… 슬프게도 금일 코스닥은 반도체, 기계장비, 화학 등등 대부분의 섹터가 상승하는 중이지만, 헬스케어는 하락중인 모습으로, 이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인간적으로다가 매번 헬스케어 섹터랑 다르게 움직이던 삼천당제약인데,

보로노이

VRN-11 향후 전략과 DS자산운용의 뻘쭘한 복귀

보로노이측에서 5.12, 5.19, 5.30에 지속적으로 IR을 진행하고 있다. IR자료를 보니, 기본적인 내용은 아래 AACR학회 포스터 재요약에 관한 게시글에서 큰 틀에서 바뀐 내용은 없다. 다만 3월 진행된 IR 자료와 비교해보면, 향후 전략에 대한 부분에 조금 변화가 생겼다.(3월 IR 자료)(5월 IR 자료) 기존엔 1b상 이후 2상을 통해 EGFR C797S, common, uncommon 변이, 뇌전이(BM) 및 뇌척수막(LM) 전이 환자를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