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IR과 금번 포스터를 보고 GPT가 해주는 요약
의문점 | 3월 IR자료 | AACR 포스터 | 중요점 |
이 약(VRN110755)이 뭘 겨냥하나? | 책상 위 계획: “EGFR 단백질이 고장 난 폐암, 특히 C797S 같은 까다로운 돌연변이까지 잡겠다” | 사람 몸에서도 C797S 말고 Del19·L858R·희귀 변이까지 대부분 눌렀다는 점 그래프로 확인 ① |
약이 ‘한 가지 자물쇠’만 여는 열쇠가 아니라 ‘여러 자물쇠’에 맞는 열쇠라는 증거 |
안전한가? | “동물에서 큰 부작용 없었고, 사람도 320 mg까지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 | 실제 25명, 160 mg까지 올려도 무거운 부작용(2등급 이상) 0건 ③ → 피부·설사 같은 EGFR 부작용도 거의 없음 |
계획이 정말 맞는지 확인됐고 더 높은 용량도 시도할 수 있게 됨 |
효과가 있나? | 쥐·원숭이 암에서 종양이 작아진 그래프만 있음 | – 종양 크기 줄거나(부분반응 PR) 그대로인(SD) 사람이 나옴 ② – 뇌·폐·부신 등 전이 부위 사진 첨부 |
‘동물에서만 좋다’는 약이 아니라 사람에서도 첫 신호가 보였음 |
뇌로 잘 들어가나? | 숫자로만 “뇌 관문 통과율이 타 약보다 2배 이상” | 뇌에 암 심은 쥐 모델에서 종양 빛(flux) 급감 뇌전이 환자 MRI에서 암이 사라진 사진 ④ |
폐암 환자 3명 중 1명은 뇌에 암이 퍼져 있음 → 큰 장점 |
얼마나 많은 변이를 막을 수 있나? | 표·그림 없이 “대부분 변이 커버할 것” | 동그라미 그래프: 클래식·C797S·희귀(주황) 점들이 사람 혈중농도 선 아래에 위치 → “40–80 mg이면 다 눌러” ① | 실제 혈중 최저 농도 ≥ IC₅₀라는 실험치로 뒷받침 |
다음 단계는? | 2025~27년에 1·2상 확대 계획만 명시 | – 이미 80 mg·160 mg 환자 모집 중 – 좋은 데이터 덕에 뇌전이·희귀 변이 코호트 먼저 키울 예정이라고 요약 |
계획이 ‘진행 중’이 아닌 ‘진행됐고 새로 보강됨’ |
아래는 위 표의 번호에 해당하는 장표와 그에 대한 GPT 해석
②
③
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