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기와 이번 약가 MFN 행정명령 비교

방금 전, 트럼프가 약가 MFN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약가 MFN 행정명령 라이브

위 링크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중간상(PBM) 우회하겠다. * 미국의 비정상적인 약가의 주요 원인
  2. Medicare, Medicaid까지 범위 확대하겠다
  3. 이미 다른 행정명령으로 약가 인하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했다. 제네릭이나 바이오시밀러 의약품 사용 가능성을 증가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1기 당시의 MFN 내용과 비교해보면 아래와 같다.

구분 1기 MFN 모델 2025.5.12. 행정명령
적용 대상 Medicare Part B 지출 상위 50개 약물
(아일리아, 키트루다 등)
Medicare, Medicaid
(세부 대상 미공개)
가격 기준 OECD 국가 최저가 다른 선진국 중 최저가
(세부 내용 없음)
PBM 등에 대한 기준 언급 없음 환자가 제조사로부터 직접 구매해 중간상(PBM)을 통하지 않는 경로(bypass middlemen) 신설, PBM 폐지는 아님
현 단계 규칙 최종화 직전 법원 중단 지침만 발표, 세부 규칙 미공개

아직 디테일한 내용은 없는 상태고,
Medicaid 범위 확대 및 PBM에 대한 내용만 추가된 정도다.

​이 라이브 이후에 헬스케어는 어떻게 됐을까?
범위를 확대해서 진행한다는 소식에 폭락하고 있을까?

엣…?
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지…?
놀랍게도 시장은 크게 상승하고 있다.

​시장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을만한 사유를 좀 생각해보면 아래 사유 정도가 생각나기는 한다.

  • 실행 가능성에 대한 회의감 → 1기때 이미 좌초된 전적 보유
  • 규제의 세부 내역 미확정 → 겉은 번지르르 했지만 속은 비어있음
  • 중간자(PBM) 압박 → 제조사·보험사 수혜 가능성
  • 해외 가격 인상 여력 → 글로벌 평균가를 조정해 총매출 타격 제한, 유럽 언급했었음
  • 위 사유들로 리스크 관리를 위해 매도했던 주체들이 다시 돌아오며 매수 수급 발생

아 시장 쥰내 어렵네 진짜


참고

과거 2020년 모델의 진행 흐름은 아래와 같으니 참고하자
최초 행정명령으로부터 무려 4개월 뒤에 상세 내용과 시행일이 공개됐었다

일자 단계 설명
2020-07-24 1차 행정명령 (E.O.) 트럼프 대통령이 ‘약값 4대 EO’ 가운데 MFN 초안을 포함해 서명했으나, 제약업계 협상을 이유로 즉시 공표하지 않음.
2020-09-13 2차 행정명령 (최종본) 보류됐던 MFN EO를 수정 · 재발표(“Lowering Drug Prices by Putting America First”). 이 날짜가 실질적 발동일.
2020-11-27 IFC (Interim Final Rule) 공표 Federal Register 85 FR 76180. 대상: Medicare Part B 지출 상위 50개 약물,
시행 예정 2021-01-01
2020-12-23 TRO (전국 효력정지) 메릴랜드 연방지방법원. 14일 한시 TRO이지만 사실상 ‘전국’ 집행 중단. (CMS)
2020-12-28 PI (예비 금지명령) 캘리포니아 북부 연방지방법원, 전국 규모 예비 금지 → 무기한 중단. (CMS)
2021-01-26 의견수렴 종료 IFC에 붙은 60일 comment period 마감.
2021-08-10 CMS-5528-P (86 FR 43618) CMS, MFN 전면 철회를 제안하는 NPRM 발표. (Federal Register)
2021-12-29 최종 철회 규칙 (86 FR 73960) MFN 모델 공식 폐지·42 CFR § 513 삭제 예고, 발효일 2022-02-28 지정.
(Federal Register)
2022-02-28 철회 규칙 발효 규정 전부 삭제 → 1기 MFN 모델 완전 폐기 완료.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