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분석실

보로노이

보로노이, VRN-10 기대감에 의한 주가 상승

아직 블로그나 그 어디에도 VRN-10에 대한 글은 작성해보지 않았지만, 간단하게 요약해보겠다 VRN-10 이 뭐지? VRN-10은 보로노이가 개발 중인 HER2 타깃 경구 항암제 현재 글로벌 임상 1상 진행 중이며, 특히 ‘엔허투’에 내성이 생긴 HER2 양성 유방암 환자를 주요 타깃으로 함 기존 ADC(항체약물접합체)와는 달리 경구형 TKI라는 점이 특징 HER2 는 뭐지??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는 […]

보로노이

VRN-11 240mg 투약 완료. 7월 학회 발표에 대한 기대

직전 4월 AACR 학회 발표 포스터를 보면 VRN11의 초기 안전성 지표가 공개되었는데, 160mg까지 Grade 2 이상의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보여준 바 있다. ​이후 지지난주, 아래 기사에서 보로노이가 240mg 투약을 완료했고, 현재 320mg 진입을 준비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기사에 따르면 240mg 투약 관련 데이터는 오는 7월 학회에서 처음 발표될 예정이다. 일정상 이는

보로노이

보로노이 급락 원인 추정과 정리

이번에도 노래나 들으면서 가볍게 보셺 비전공자도 최대한 이해하기 쉽게 써보았슴 이 글은 아래의 보로노이(VRN-11)의 학회 포스터 내용 재요약에 이어지는 다음 글임 이번 보로노이 급락의 원인을 생각해보면 몇가지 사유가 떠올라 이를 정리해보고자 함 순서는 아래와 같음 1. ORR의 절대적인 수치에 대한 의문 2. 생존기간(PFS, OS) 관련 데이터가 제시되지 않음 3. 임상 발표 전 주가의 적정여부 4.

보로노이

보로노이(VRN-11) 포스터 재요약

얼마전 AACR 2025 학회에서 아래와 같은 보로노이의 VRN-11 포스터가 공개되었음 들어가기 앞서, 우선 이번 포스터의 내용을 간략하게 이해해보자. 기존 약인 타그리소(오머시티닙)은 영구결합형 약물이고,타세바(엘로티닙), VRN-11은 되돌릴수 있는 결합 약물임 쉽게 말하자면, 목표하는 단백질(암세포 표면의 수용체 등)에 영구적으로 붙어있느냐, 아니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떨어지느냐의 차이. “엥? 영구 결합되어있으면 약효가 오래 지속되서 더 좋은거 아닌가요?” 라는 의문이 들

보로노이

폐암 변이 구분 관련 참고자료

폐암 중 비소세포폐암(NSCLC)의 변이 구분과 그 비율(시장 규모 파악을 위함) 그리고 현재 치료제에 대한 내용 정리 현재 내가 계속 추적중인 보로노이의 약물에 대한 대상이 노란색 표시해둔 부분이라고 보면 됨 그 외 부분은 더 깊게 파고들지 않음 나중에 폐암 관련 투자 시 그 회사의 타겟이 무엇이고 그 비중이 어느정도인가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해서 올림 참고로

위로 스크롤